정책자료실

정책자료실입니다.

본 게시판은 전라남도인재개발원의 정책자료실 게시판입니다.

정책자료실 게시판의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육성 방향" 게시물의 내용입니다.
제목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육성 방향
작성일 2010년 08월 20일, 관리자 조회수 1,904회
KREI 논단| 2010년 8월 12일 /김 정 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역농식품클러스터와의 연계 및 역할 분담 -
지난 7월 30일 서울팔래스호텔 로얄볼룸에서 ‘푸드폴리스(FOODPOLIS)와 지역농식품클러스터 교류활성화 워크숍’이 열렸다. 금년에 착수된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영어명 FOODPOLIS)의 발전 방향과 기존에 시·군 단위로 조성한 농식품클러스터와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모임이었다. 특히 시·군의 농식품클러스터 대표자들이 많이 참석하였는데, 이제 사업을 본격화하려는데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블랙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이 없어지면서 방향성을 잃은데다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에 국내외 식품기업 및 연구소 150개를 유치하여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육성한다고 하니 영세한 클러스터사업단들은 두려움이 클 수 밖에 없다. 정책적으로 농식품클러스터의 성격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지고 보면 모두 클러스터사업의 범위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농식품클러스터 정책(공식 명칭은 아님)은 2005년에 착수한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에서 비롯된다. 당시 농림부는 지역농업클러스터를 “일정지역의 특화된 농산업과 관련된 주체를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가용자원의 최적 이용을 통해 지역농업을 혁신하는 농산업 결집체”로 규정하고, 20개 시범사업단을 선정하여 3년간 자금을 지원하였다. 이 사업은 농업인과 전문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8년에 농림수산식품부는 본사업 추진을 결정하여 22개 사업단을 추가로 선정하고, 중장기계획으로 2014년까지 지역농업클러스터 100개소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정부 내에서 농촌지역 지원사업의 분산 또는 중복 문제가 제기되고 광역경제권 개념이 등장하면서 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은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2009년에 농식품부는 시·군 단위의 클러스터를 ‘향토산업육성사업’에서 지원하고 둘 이상의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에만 ‘광역클러스터사업’ 명칭으로 추진하도록 하여 12개 사업단을 선정하였다. 정부가 이와 같이 농촌지원사업의 성격을 재정립했다고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지역농업’이 사라진 광역클러스터사업을 탄생시킨 것이다.

광역클러스터는 클러스터의 범위를 규정하는 용어에 지나지 않는다. 일찍이 ‘산업단지 클러스터사업’을 시작한 지식경제부 정책에도 미니클러스터나 광역클러스터가 존재한다.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는 농식품클러스터의 특수한 형태로 보면 기존 정책과 일맥상통한다.

산업클러스터는 선진국에서도 유효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특히 식품 분야는 산업연관효과가 크고 연구개발(R&D) 잠재력이 높아 기업, 연구소, 대학,기관 등이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여 시너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네덜란드 푸드밸리나 덴마크-스웨덴 외레순푸드클러스터 등이 식품클러스터로서 유럽 식품산업의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최근에 이들 식품클러스터에서 성공한 식품기업들이 아시아 시장을 겨냥하여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하니 반가운 일이다.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는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이 세계로 뻗어나가기 위한 전초기지가 되어야 한다. 외국의 식품기업의 투자 유치만이 아니라 뉴노멀(New Normal)로 경쟁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의 성장세에 비추어보면 작년에 매출 1조원 이상을 올린 씨제이(CJ) 제일제당, 농심, 롯데, 에스피씨(SPC)그룹, 하림 등이 글로벌식품기업으로 발전 가능성은 충분하다. 세계 최대 식품회사인 스위스 기업 네슬레의 ‘현지화 전략’이나 ‘글로벌 브랜드 전략’은 우리 농식품기업이 벤치마킹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이렇게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가 우리나라 농식품기업을 선도한다는 인식으로 지역농식품클러스터와 연계하여 이끌어가도록 하는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국가식품클러스터에서 혁신적인 제조기술, 상품화, 마케팅 기법 등을 개발하여 전파시키고,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노하우도 나누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네트워킹(networking)이고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다.

농식품클러스터 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로 국내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클러스터라는 개념 하에 농식품 산·학·연·관의 연계를 강화하여 시너지 효과를 거두자는 것이다. 따라서 애매한 광역클러스터사업을 ‘농식품클러스터 육성사업’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체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사후관리도 가능할 것이다.
정책자료실 게시판의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육성 방향" 게시물의 이전/다음 게시물 연결입니다.
다음글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이전글 미국, 러시아가뭄으로 곡물시장에 반사이익 창출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