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실

정책자료실입니다.

본 게시판은 전라남도인재개발원의 정책자료실 게시판입니다.

정책자료실 게시판의 "“먹을거리에서 온실가스가 나온다”" 게시물의 내용입니다.
제목 “먹을거리에서 온실가스가 나온다”
작성일 2010년 09월 07일, 관리자 조회수 1,585회
일리노이대, 전주기적 배출계수 개발 중 - 2010년 07월 05일(월)

지구와 인류의 현안 지난 4월14일부터 시행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총량제한 배출권거래제 도입을 명시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사업장별로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더 많이 배출하는 기업은 배출권거래소에서 배출권을 추가로 구매해야 하고, 더 적게 배출하는 기업은 남는 배출권을 거래소를 통해 다른 기업 등에 판매할 수 있다.

선·후진국 모두 총량제한 배출권거래제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최근 추세다. 유럽을 중심으로 현재 10개 이상의 배출권거래소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온실가스 거래소가 논란 없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즉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그 기준을 부분적으로 적용해왔다.

농산물 배출계수 산정하기 매우 힘들어

UN 기후변화협약(UNFCCC)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품별로 책정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400~500개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휘발유 1리터당 온실가스는 0.00232톤이 발생하기 때문에 ‘휘발유 배출계수 0.00232 X 휘발유 사용량 = 휘발유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된다.

시멘트, 반도체 같은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 생산량에 그 제품의 배출 계수를 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를 적용해야할 제품, 혹은 생산품, 서비스 등의 수효가 워낙 많다는데 있다.

그중에서도 농산물의 배출계수는 산정하기가 매우 힘든 상황이다. 농산물이 식물인지, 동물인지, 만일 동물이라면 돼지고기인지 쇠고기인지, 같은 육류라도 국산품인지 수입품인지 등에 따라 배출 계수 기준이 달라진다.

UN 기후변화협약 관계자들은 지난 2008년 말 환경장관회의에서 전 세계에서 1조가 넘는 가축들이 온실가스의 약 18%를 만들어낸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동물마다 다른 배출계수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에 대해 결론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농작물과 삼림에 대해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삼림과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나무를 더 많이 심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나무 심기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늘린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 결과 온실가스 총량에 대해서도 나라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환경보호기관은 지난 2006년 농업에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의 7.4%에 머물렀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브라질,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들은 50%가 넘는다고 발표했다.
시민단체들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포인트 기재

미국의 퍼센티지가 낮은 것은 계산 방식 때문이었다. 미국은 농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면서 운송과 매립 쓰레기와 같은 분야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반면 환경의식을 갖고 농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덴마크, 노르웨이, 뉴질랜드 등과 같은 나라들은 심지어 퇴비사용과 같은 요소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에 포함시키고 있다.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들은 자체적으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영국의 시민단체 서스테인(Sustain)은 먹을거리의 수송 거리가 늘어나면 화석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난다며 ‘푸드 마일리지(Food Miles)’를 선보였다.

일본의 ‘대지를 지키는 모임’은 이산화탄소 삭감 대상 품목을 70개 선정했다. 국산과 수입산을 비교해 품목별로 푸드 마일리지와 삭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계산한 후 포장재, 매장 진열대, 카탈로그 등에 표시하는 포인트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일리노이주립대학은 논문집 ‘글로벌 체인지 바이올로지(Global Change Biology)’를 통해 농작물과 관련, 온실가스 배출의 변화를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일리노이대학 에너지바이오과학연구소의 박사후연구원 크리스티나 앤더슨(Kristina Anderson) 씨가 주 저자로 돼 있는 이 논문의 주제는 특정작물의 배출계수를 설정하면서 그 작물과 관련된 전주기적 과정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리노이 대, 새로운 배출계수 개발 중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전주기적으로 바이오연료 작물을 분석하면서 이 작물 재배가 온실가스에 미치는 모든 영향들을 고려하고 있다. 가령 농기계를 사용하면서 태우는 연료, 식물가공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 토지사용의 변화로 유발되는 가스와 같은 변수들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

농산물에 대해 전주기적 분석방법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그 이전에도 있었다. 그러나 앤더슨 씨는 “아열대 삼림을 작물용 토지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을 고려할 경우 어떤 사람들은 나무에 저장되는 탄소의 양만을 나무의 온실가스 수치의 척도로 생각한다”며 분석방식에 있어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일부 분석들이 간과하고 있는 점은 미래에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잠재성이 있다는 사실이다. 앤더슨 씨는 “새로운 농지를 개간해서 집약 운용함으로 발생하는 추가 가스 방출 비용을 놓치고 있다”며 전 주기적 방식에 있어 보다 더 세밀한 부분을 고려해줄 것을 당부했다.

일리노이대 에너지바이오과학연구소는 차세대 바이오연료의 개발과 생물학과 에너지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기관이다. 아이오와주립대학, UC버클리대학,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10년간 5억 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BP사가 협력하고 있다.

또한 아이오와주립대학의 유전체생물학연구소를 포함해 여러 곳에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곳에서 발표되는 연구 자료들은 미 정부의 정책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연구소를 통해 수많은 농산물에 대한 타당성 있는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제시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강봉 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0.07.05 ⓒ ScienceTimes
정책자료실 게시판의 "“먹을거리에서 온실가스가 나온다”" 게시물의 이전/다음 게시물 연결입니다.
다음글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이전글 “남는 전기를 어떻게 저장하나… ”
상단으로 이동